첫째, 성장과 재분배의 정치적 평등이념으로부터 지식, 서비스, 기술적 형평으로의 전환이다.
둘째, 지식정보서비스시스템의 설계, 수정을 위한 분석적 관료제로의 대응이다.
셋째, 산업사회의 경제가 지식기반 사회에 부적절함으로 인한 경제시스템의 부정합이다. 넷째, 지식과 기술의 정치, 행정. 사회, 문화적 의미와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다섯째, 지식관리에 기반한 공공기관과 시민간 역할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실은 지식사회에 부합하는 행정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식활용의 중요성을 뒷받침한다.
- 이후 생략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1. 연구의 범위 2
2. 연구의 방법 2
제 2 장 지식기반행정과 신지식 공무원의 모색 3
제 1 절 환경변화와 지식정보사회 3
1.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3
2. 지식 및 신지식인의 개념구조 5
3. 지식의 구성체계 9
4. 지식메카니즘의 단계 15
제 2 절 지식기반행정과 인적자원개발 23
1. 지식기반행정의 논의기반 23
2. 지식기반행정의 특징과 경쟁력 27
3. 새로운 밀레니엄시대의 교육 훈련 29
4. 신지식인과 인적자원개발 34
제 3 절 신지식 공무원상의 모색 41
1. 신지식 공무원의 필수요건 41
2. 신지식 공무원의 아이디어 개발 44
제 3 장 충남도정 직원에 대한 실증적 조사분석 및 논의 49
제 1 절 연구조사설계 49
1. 조사개요 49
2. 설문문항의 구성 50
3. 척도화 및 자료처리 53
제 2 절 조사표본의 특성 54
1. 표본특성 54
2. 종합분석 55
제 3 절 설문조사의 분석결과 56
제 4 절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75
제 4 장 신지식 공무원상을 위한 현실적용방안 79
제 1 절 설문에 나타난 신지식 공무원상의 정립요건 79
1. 신지식 공무원 육성 및 활용 강화 79
2. 신지식 공무원으로의 변화방향 81
제 2 절 학습조직화를 통한 자기개발과 조직발전 86
1. 학습조직으로의 전환 86
2. 자기개발과 조직발전의 연계화 90
제 3 절 Y이론적 리더십과 평가제도의 다원화 93
1. Y이론적 리더십의 강조 93
2. 평가제도의 다원화 96
제 4 절 능력보상의 공정화와 감사제도의 보완 100
1. 능력인정제의 도입 시행 100
2. 감사제도의 보완적 운영 103
제 5 장 결 론 105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행정학적 시사점 105
제 2 절 앞으로의 연구과제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