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가례(家禮) 연구와 관련하여 민속학, 또는 한국학을 하는 연구자들 간에는 이 분야를 「관혼상제」, 또는 「일생의례」, 「평생의례」, 「통과의례」 등으로 각기 달리 표현하고 있다. 「관혼상제」를 적절한 용어로 여기지 않는 연구자들은 이것이 관례 이전의 기자(祈子)나 출산(出産) 등의 의례를 포함하지 못한 데서 그 이유를 찾고, 그 나머지 용어들을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 「관혼상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그것이 (개인의 사후 행사인) 제례를 담지 못하기 때문이다.
-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충남지역 통과의례의 서술체계 (정승모 지역문화연구소장)
1. 관혼상제례 연구 현황 1
2. 관혼상제례의 지역적 다양성 2
3. 혼상제례 조사를 위한 질문사항의 예 9
참고문헌 12
⚫[제3주제] 충남지역 민간신앙의 서술체계 (이필영 한남대 교수)
1. 민간신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33
2. 민간신앙 연구의 의의와 목적 36
3. 대전․충남 지역 민간신앙의 기초 구성과 성격 37
4. 민간신앙의 조사 대상과 범위 43
5. 민간신앙의 분류 체계(案) 44
6. 조사의 관점 및 서술 방식 45
부록) 마을 및 가정신앙 조사연구를 위한 설문 항목 51
⚫[제4주제] 충남지역 생산풍습의 서술체계 (주강현 우리민속문화연구소장)
1. 물질민속연구 현황과 과제 : 연구사적 소외 59
2. 연구사 검토 및 서술체계 분석 60
3. 구체적인 조사항목의 몇가지 사례 75
기본자료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