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책 개선을 위한 지역노동시장 분석 연구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동호-
dc.contributor.other이상호-
dc.contributor.other최효미-
dc.contributor.other윤미례-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citation040 충211 11-11-
dc.identifier.other1511JU001-
dc.identifier.uri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04040&seq=1ko_KR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지역은 행정구역과는 별도의 지역 노동시장권이 존재하지만 다수의 지역들은 시군 행정단위가 그 자체로 독립적인 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통합된 형태의 노동시장도 그 범위가 크지는 않다. 그러나 노동시장의 범위는 인구학적 특성 및 고용형태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고 성별·연령·교육수준·숙련·산업특성·고용형태에 따라 노동의 공급 및 수요, 노동력의 매칭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각 정책 집단별로 차별화된 지역 고용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우선 고학력 청년층의 타 지역 유출을 막기 위해 단순 저 숙련 일자리의 양적 팽창에 의존하기보다는 보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전반적으로 낮고 상대적 근로 조건도 떨어지기 때문에 젊은 여성들의 결혼 출산으로 인한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하고 고령화된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정책들이 필요하다. 요컨대 고학력·청년층·고숙련 노동력을 유인하는 전략과 여성·고령자·저숙련 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고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노력들이 병행되어야 한다. - 이후 생략-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범위 및 방법 3 4. 연구자료 4 5. 연구의 의의 및 기대효과 5 제2장 지역고용통계 현황 및 구축 6 1. 고용통계와 지역고용통계 6 2. 충남 지역고용통계 구축 9 제3장 충남 지역노동시장권 분석 17 1. 분석배경 17 2. 분석방법과 자료의 구성 19 3. 분석 결과 23 4. 소결 30 제4장 충남 지역노동 공급분석 32 1. 분석내용 및 자료 32 2. 충남의 노동공급 구조 33 3. 청년층 및 여성의 노동공급 구조 68 4. 소결 87 제5장 충남 지역노동 수요분석 89 1. 분석내용 및 자료 89 2. 충청남도의 경제력 및 노동수요 개요 89 3. 산업구조 분석 120 4. 주요 근로조건 분석 125 5. 소결 133 제6장 충남 지역노동시장 수요-공급간 미스매치 분석 136 1. 분석내용 및 자료 136 2. 미스매치의 추정 결과 138 3. 구직자 미스매치 분해 147 4. 충남 사업체고용동향 조사 154 5. 소결 165 제7장 요약 및 정책제언 169 1. 주요 연구결과 169 2. 정책제언 171 3. 연구의 한계 및 과제 172 【참고문헌】 174 <부록 및 부표> 176-
dc.languageKO-
dc.publisher충남발전연구원-
dc.rightsBY_NC_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subject고용정책-
dc.subject노동시장-
dc.subject통계-
dc.subject.other전략과제-
dc.title고용정책 개선을 위한 지역노동시장 분석 연구-
dc.type연구보고서-
dc.date.term20110101 ~ 20111231-
dc.countryKR-
dc.date.createdate2017-08-20-
dc.date.modifydate2017-08-20-
dc.identifier.citationurl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18313-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전략과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