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허남혁 | - |
dc.contributor.other | 조은정 | - |
dc.contributor.other | 김오열 | - |
dc.contributor.other | 박준식 | - |
dc.contributor.other | 유학열 | - |
dc.contributor.other | 송주연 | - |
dc.contributor.other | 강마야 | - |
dc.contributor.other | 이관률 | - |
dc.contributor.other | 장경호 | - |
dc.date.issued | 2011 | - |
dc.identifier.citation | 040 충211 11-14 | - |
dc.identifier.other | 1511JU012 | - |
dc.identifier.uri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04036&seq=1 | ko_KR |
dc.description.abstract |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 식량위기, 자원 위기, 가축전염병 위기, 건강 위기, 지역 위기 등 현재 먹거리와 관련된 다중적인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의 농업 농촌 농민 역시 심각한 위기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은 대체로 현재 우리의 먹거리를 생산-유통-가공-소비하는 총체적 시스템인 ‘산업화된 현대 식품체계’(modern industrial food system) 내에 내재하고 있는 구조적인 요인과 추세들 - 글로벌화, 규모화/단 작화, 산업화/자본화/기술화, 석유화 -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층적·복합적 위기 국면의 타개를 위한 시스템 전반적인 전환이 모색되어야 할 시기이며,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국가나 지역, 시민사회 차원에서 그러한 노력들이 점차 커지고 있다. 즉, 사회적·경제적·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품체계(sustainable food system)의 구축이 절실한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지역 차원에서 가능한 일이 바로 충남에서 지역순환 식품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며, 그중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로컬푸드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農-食 관계를 강화하는 로컬푸드를 통한 ‘지역시장’(local market)의 활성화는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의 출발점이자 핵심과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품체계의 구축과 로컬푸드의 활성화에 대한 국가, 지자체, 시민사회의 노력과 사례들이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순환 식품체계의 구축이라는 장기적 과제 중에서 충남 로컬푸드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이다. 민선 5기 충남형 로컬푸드 정책방향 및 정책 모델, 추진체계를 제시하고, 현장에서 바로 시행 가능한 다양한 정책 모델과, 원활한 추진을 위한 추진체계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후 생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및 내용 5 3. 선행연구 검토 8 제2장 로컬푸드의 이론적 검토 11 제1절 지역순환 식품체계와 로컬푸드 개념 11 1. 식품체계 11 2. 지역순환 식품체계 14 3. 로컬푸드 15 4. 관련 개념들과의 비교 검토 20 제2절 로컬푸드 활성화의 효과 25 1. 일반적 효과 25 2. 로컬푸드와 농촌개발과의 관련성 29 제3절 로컬푸드 공급구조 및 시장의 특성 38 1. 공급사슬구조 41 2. 시장의 특성 41 3. 성과 44 4. 로컬푸드 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함의 45 제4절 소결: 로컬푸드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와 활용 47 제3장 로컬푸드의 유형과 현황 48 제1절 로컬푸드의 유형 48 제2절 해외 로컬푸드의 현황 53 1. 일본 53 2. 미국 79 3. 영국 88 4. 프랑스 100 5. 이탈리아 105 6. 소결: 해외 정책사례의 시사점 112 제3절 국내 로컬푸드의 현황 115 1. 로컬푸드의 현황 115 2. 중앙정부 관련 정책 120 3. 지자체 로컬푸드 정책 129 제4장 로컬푸드 사업체 실태분석 및 사례연구 169 제1절 로컬푸드 사업체 실태분석 169 1. 조사개요 169 2. 조사대상의 일반특성 172 3. 로컬푸드의 인식 180 4. 로컬푸드 생산자 연계 188 5. 로컬푸드 소비자 연계 195 6. 로컬푸드 시장 201 7. 로컬푸드 제도 211 8. 로컬푸드 성과 216 9.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223 10. 로컬푸드 활성화 정책대안 228 11. 소결 234 제2절 로컬푸드 사례연구 236 1. 청주․청원 로컬푸드 네트워크 사례 236 2. 서천 마서동네장터 사례 245 3. 충남지역 꾸러미사업 농가 사례 252 제5장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257 제1절 기본 원칙 257 제2절 활성화 방안 259 1. 생산 주체 261 2. 시장 262 3. 제도 271 4. 관련 정책 273 제3절 추진 방안 278 1. 중장기 로드맵 278 2. 추진체계: 거버넌스와 중간지원조직 279 제4절 분야별 연계 방안 280 1. 농촌 마을만들기와 로컬푸드 280 2. 도시 커뮤니티 활성화와 로컬푸드 285 3. 농협과 로컬푸드 290 4. 향토산업과 로컬푸드 299 제5절 향후 과제: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 307 제6장 결 론 312 참고문헌 316 [부록 1] 로컬푸드 사업체 설문조사표 321 [부록 2] 전략과제 관련 워크샵 개최 내역 334 | - |
dc.language | KO | - |
dc.publisher | 충남발전연구원 | - |
dc.rights | BY_NC_ND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subject | 로컬푸드 | - |
dc.subject | 식품체계 | - |
dc.subject.other | 전략과제 | - |
dc.title | 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 - |
dc.type | 연구보고서 | - |
dc.date.term | 20110101 ~ 20111231 | - |
dc.country | KR | - |
dc.date.createdate | 2017-08-20 | - |
dc.date.modifydate | 2017-08-20 | - |
dc.identifier.citationurl | 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18316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