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행복을 위한 사람들의 의식변화와 함께 관련 정책패러다임의 변화는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물질적 행복에서 벗어나 가족이나 사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나 자아실현 혹은 구성원 간 관계의 유지나 여가와 문화의 향유와 같은 행복에 있어서의 비경제적 가치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 연구원은 2012년에 충남의 행복지표 개발에 관한 과제의 수행을 통해, 도민의 행복지표 측정 틀을 정립하였다. 특히, 행복에 대한 정의, 행복지표를 구성하는 영역과 영역별 지표의 선정, 충남 행복지표 설정에 있어서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고려, 영역별 도민의 만족도 및 영역별 객관적 세부지표 우선순위에 대한 설문조사 등이 2012년 과제를 통해 선행되었다.
따라서, 충남 도민의 행복도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의 발굴을 위해서는 2012년 연구결과 (충남 행복지표의 측정 틀)에 기초하여 충남 도민의 행복지수를 실제로 측정하고 이와 함께 행복지수와 정책연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추진체계
1) 연구의 주요 내용
2) 연구의 추진체계 및 절차
제2장 행복도 측정을 위한 충남의 행복지표개발
1. 충남 도민의 행복지표 개발 과정 및 절차
1) 2012년 행복지표 개발의 추진절차
2) 영역의 설정
3) 영역별 세부지표의 선정
2. 개발 결과
제3장 충남 도민의 행복지표 측정
1. 측정 방법
2. 영역별 세부지표의 측정
3. 충남 도민의 행복감 결정요인
1) 분석 방법
2) 분석 자료 및 표본의 분포
3) 분석 결과
제4장 행복지표 측정과 정책연계를 위한 과제
1. 조사결과의 시사점과 정책방향
1) 주거 및 교통 분야
2) 일자리/소득/소비 분야
3) 교육 분야
4) 가족 및 공동체 분야
5) 문화 및 여가 분야
6) 환경 분야
7) 건강 및 보건 부문
8) 주민참여 부문
2. 행복지표 조사와 정책연계를 위한 과제
1) 정책적 연계를 위한 조건
2) 정보공개를 통한 인식전환 기능의 강화
3) 정책적 활용기반 마련
4) 행복지표의 조사 및 운영방식의 개선
3. 정책적 활용 사례
1) 부탄
2) 일본
3) 태국 GHI (Green and Happiness Index)
4) 잭슨빌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