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정보의 활용 및 이용에 대해 많은 중요성이 부각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충청남도의 마을차원의 연구 및 정책수립의 기초가 되는 기초 데이터, 즉, 소지역에 대한 기초 데이터가 부재하여 마을단위의 연구를 진행하거나 마을차원의 정책 개발 및 의사결정자의 정책 수립에 많은 한계가 있다. 즉, 충청남도 농어촌마을에 대한 실효성 있는 미래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마을 단위의 전망과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분석의 공간단위(spatial unit)가 매우 중요하기에 분석의 공간단위(spatial unit)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시군구, 읍면동 단위가 아닌 이보다 소지역(small area) 단위인 법정리행정리 단위의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을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충청남도 기초 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향후 소지역 단위의 공간데이터 활용 방안에 대한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마을에 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마을단위의 기초데이터 조사 및 구축, 마을단위에 대한 인구 특성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GIS를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속성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간데이터까지 구축하여, 시각화뿐만 아니라 공간적 특성 분석 가능성을 제시하고 통계청 센서스 원시 자료와의 연계, 타 연구분야와의 연계성 제시를 통해 다양한 소지역 차원의 정책수립지원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1) 마을 DB 구축 관련 기존연구 고찰 3
2) 공간적 범위 6
3) 연구의 방법 6
제2장 이론적 고찰 8
1. 마을의 개념 8
2. 선행연구 고찰 9
1) 마을 DB 구축 관련 기존연구 고찰 9
2) 연구의 차별성 13
제3장 충청남도 행정구역 현황과 데이터 구축 절차41
1. 충청남도 행정구역 현황 14
2. 데이터 구축 방법론 및 구축 절차 17
1) 구축 방법 기준 17
2) 구축절차 22
제4장 충청남도 기초데이터 구축 2 3
1. 데이터 수집 23
2. 행정리 공간 데이터 조사 준비 단계 25
1) 행정리 공간 데이터 구축 25
2) 지도 출력 25
3. 데이터 조사(경계 및 인구조사) 27
1) 조사항목 및 작성 예시 27
2) 조사 방법 및 절차 28
4. 자료 회수 및 검수 30
5. 재조사 33
6. 자료 검수 34
7. 공간정보와 속성정보 구축 35
1) 공간정보 구축 방법 및 결과 35
2) 속성데이터 구축 결과 46
8. 소결 49
제5장 기초공간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15
1. 구축 데이터의 기본 현황 51
2. 자연마을의 인구 현황 53
1) 시군별 자연마을 인구 현황 53
2) 시군별 자연마을 고령화(65세 이상) 현황 58
3) 시군별 자연마을 고령화(75세 이상) 현황 63
4) 시군별 자연마을 과소고령화(한계마을) 현황 69
3. 행정리의 인구 현황 78
1) 시군별 행정리 인구 현황 78
2) 시군별 행정리 고령화(65세 이상) 현황 83
3) 시군별 행정리 고령화(75세 이상) 현황 88
4) 시군별 행정리 과소고령화(한계마을) 현황 95
제6장 기초공간데이터 연계방안 103
1. 통계청 센서스 자료와 연계 활용 103
1) 연계 방안 103
2) 소지역 인구 분석 106
3) 한계마을 분포 116
2. 타 연구분야 연계 활용 방안 123
1) 교통데이터와 연계 분석 123
2) 충청남도 공장 데이터와 연계 분석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