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상신 | - |
dc.date.issued | 2016 | - |
dc.identifier.citation | 040 충211 16-34 | - |
dc.identifier.other | 1516JU014 | - |
dc.identifier.uri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69575&seq=1 | ko_KR |
dc.description.abstract | 1. 서론 IPCC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2013)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평균기온 상승 등 극한 기상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지난 133년간(1880∼2012) 지구 평균온도는 0.85℃ 상승하였고 2100년까지 4℃이상의 기온상승이 예측되고 있어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이 절실해 지고 있다. 2015년 UN 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총회(COP21)에서 신기후체계(Post-2020)를 위한 온실가스감축분야의 포괄적인 협정에 더하여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공동대응과 적응의 주류화에 대한 논의가 함께 진행되었다. 이는 현재 배출된 온실가스로 인해 지금 당장 온실가스배출을 멈추더라도 향후 100년 이상 기후변화 현상은 지속될 것임으로 완화와 더불어 기후변화 적응이 더욱 필요하며, 기후변화 적응 분야 중 물분야 적응은 피해저감을 위한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충청남도의 경우 2015년 가을 극심한 가뭄으로 제한급수 등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러한 극한가뭄은 기후변화 심화로 점점 빈번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 단위 가뭄정책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 생산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충남지역 가뭄분석을 통해 기후변화를 고려한 충청남도 중장기 가뭄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하다. - 이후 생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범위 및 방법2 3. 연구 목적 제2장 가뭄관리 이론 및 관련 정책동향 1. 가뭄의 정의 2. 가뭄지수 3. 가뭄 정책동향 4. 가뭄피해 사례 5. 시사점 및 연구의 관점 제3장 충남지역 가뭄분석 및 전망 1. 과거 가뭄분석 2. 시군별 가뭄지수 전망 제4장 충청남도 가뭄대응 전략 1. 충청남도 가뭄관리 방향 2. 가뭄관리 지역 선정 3. 충청남도 가뭄대책 사업제안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 |
dc.language | KO | - |
dc.publisher | 충남연구원 | - |
dc.rights | BY_NC_ND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subject | 가뭄 | - |
dc.subject | 기후변화 | - |
dc.subject.other | 전략과제 | - |
dc.title | 충청남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분석 | - |
dc.type | 연구보고서 | - |
dc.date.term | 20160101 ~ 20160630 | - |
dc.country | KR | - |
dc.date.createdate | 2017-08-20 | - |
dc.date.modifydate | 2017-08-20 | - |
dc.identifier.citationurl | 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31813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