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실태 및 정책 추진 방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경철 | - |
dc.date.accessioned | 2017-08-19T16:31:37Z | - |
dc.date.available | 2017-08-19T16:31:37Z | - |
dc.date.issued | 2016 | - |
dc.identifier.citation | 040 충211 16-42 | - |
dc.identifier.other | 1516JU011 | - |
dc.identifier.uri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69574&seq=1 | ko_KR |
dc.identifier.uri | http://oak.cni.re.kr//handle/2016.oak/448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 청년농업인의 지원 현황 및 청년농업인의 실태를 파악하고, 심층 사례 연구를 통해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의 추진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청년농업인의 범위를 정리하여 정책 대상 범위를 명확히 하고, 지금까지 시행되었던 관련 지원 현황을 국가와 정부기관, 충남의 순으로 알아본다. 다음으로 충남의 청년농업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 자료와 농업기술원의 협조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의 농업 실태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충남 청년농업인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필요한 지원 정책을 파악하기 위해 청년농업인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에 대한 사례를 심층 조사하고자 한다. 각 대상이 처해있는 농업의 여건과 농촌 정착과정 등은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에 따른 정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국 단위와 지역 단위의 단체 지원 사례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청년농업인 지원과 관련한 정책의 방향을 검토해 본다. 이 과정을 통해 충남의 청년농업인이 겪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정리하고, 청년농업인 유형별로 필요한 정책에 대해 제안하며, 나아가 충남의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의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는 충남의 농촌지역에서 고령화 되어 가는 후계인력을 확충하고, 지역 내에서 농업,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다양한 형태의 인재를 육성하여 지속가능한 농업을 바탕으로 하는 농촌공동체의 유지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 이후 생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필요성 2 2. 연구 목적 3 제2장 선행 연구 고찰 4 1. 청년농업인 관련 선행 연구 4 2.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5 제3장 충남 청년농업인의 지원 현황 및 실태 6 1. 개요 6 2. 청년의 범위 및 지원 현황 7 1) 청년의 범위 7 2) 청년 관련 정책 현황 7 3. 청년농업인의 범위 및 지원 현황 14 1) 청년농업인 정의를 위한 개념 정리 14 2) 청년농업인의 범위 20 3) 충남의 청년농업인 유형별 정책 현황 21 4) 충남의 청년농업인 지원 정책 23 4. 시사점 34 제4장 충남의 청년농업인 실태 35 1. 개요 35 2. 충남의 농가 실태 36 1) 충남의 농가 수 및 농가 인구의 추이 36 2) 충남의 청년농업인 인구 추이 41 3. 충남의 만 34세 이하 청년농업인 농업 실태 46 1) 충남의 만 34세 이하 농업인 수 46 2) 충남 시군별 농업 종사가구원 및 4-H회원의 종사형태 비교 50 4. 충남의 만 39세 이하 귀농인 농업 실태 62 1) 지역 및 유형별 결과 62 2) 연령별 결과 63 3) 종사형태별 결과 64 5. 시사점 65 제5장 청년농업인 정책 개선을 위한 사례 조사 66 1. 개요 66 2. 청년농업인 사례 67 1) 후계농업인 A씨(33세) 67 2) 후계농업인 B씨(34세) 69 3) 귀농인 C씨(39세) 72 4) 귀농인 D씨(34세) 76 5) 귀농인이 아닌 자 E씨(34세) 81 6) 귀농인이 아닌 자 F씨(34세) 83 3. 청년농업인 지원 단체 사례 86 1) 전국 단위 사례: 전국귀농운동본부 86 2) 지역 단위 사례 1: 풀무학교 전공부(교사 G씨, 홍성군 홍동면) 87 3) 지역 단위 사례 2: 젊은협업농장(이사 H씨, 홍성군 장곡면) 92 4. 시사점 96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97 1. 결론 97 2. 정책제언 99 1) 청년농업인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99 2) 충남의 청년농업인 유형별 필요 정책 102 3) 청년농업인의 육성 지원 정책 방향 104 참고문헌 107 | - |
dc.language | KO | - |
dc.publisher | 충남연구원 | - |
dc.rights | BY_NC_ND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subject.other | 전략과제 | - |
dc.title | 충남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실태 및 정책 추진 방향 | - |
dc.type | 연구보고서 | - |
dc.date.term | 20160101 ~ 20160630 | - |
dc.country | KR | - |
dc.date.createdate | 2017-08-19 | - |
dc.date.modifydate | 2017-08-19 | - |
dc.identifier.citationurl | 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31833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