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소지역의 인구 및 가구. 주택 특성 분석 및 정책과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윤정미, 김동한, 채명기 | - |
dc.date.issued | 2016 | - |
dc.identifier.citation | 040 충211 16-26 | - |
dc.identifier.other | 1516JU010 | - |
dc.identifier.uri | https://www.cni.re.kr/main/search/down.do?gcd=AC0000069540&seq=1 | ko_KR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센서스 자료의 인구, 가구, 주택의 일반현황을 파악하고, 이 자료와 충남 소지역 경계 자료와 연계하여 시계열 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정책 및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센서스 자료와 소지역 경계 자료의 연계방안 제시, 기초자료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센서스 자료와 소지역 연구를 고찰한다. 센서스 자료는 자료 조사의 목적 및 성격과 자료 조사 범위에 대해 조사를 수행하고 센서스 자료를 활용한 선행 연구를 고찰한다. 또한 소지역에 대한 정의 및 소지역을 활용한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둘째, 선행연구·인터뷰 조사 및 센서스 자료 검토를 통해 한계마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수를 도출한다. 셋째, 선정된 변수의 자료 구축 및 각 변수별 실태 및 특성 도출을 위한 분석방법을 선정한다. 넷째, 다양한 특성 도출 방법을 통해 선정된 변수에 대한 시계열 특성 도출·진단을 수행한다. 다섯째, 소지역 차원의 각종 정책 및 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연계·활용 사례를 위해 한계마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도출되는 변수를 선정하여 한계마을에 대한 기준을 재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신뢰성 및 분석의 지속성 확보를 위해 소지역 경계 데이터의 정비 방안, 센서스 자료와 소지역 DB 지속적 갱신방안 등에 대한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 이후 생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배경과 목적 1 1) 연구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6 1) 연구 내용 6 2) 연구범위 및 방법 7 제2장 선행 연구 및 관련 이론 고찰 10 1. 소지역 연구 고찰 10 1) 소지역의 정의 10 2) 소지역 관련 선행연구 고찰 12 2.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고찰 13 1) 인구주택총조사의 정의 13 2) 인구주택총조사의 특징 및 내용 14 3)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한 선행 연구 고찰 16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8 제3장 데이터 선정·구축 및 분석방법 20 1. 데이터 선정 20 1) 데이터 선정 방법 20 2) 데이터 변수 도출 20 2. 데이터 구축방법 및 구축 26 1) 소지역 데이터 26 2)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의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구축 31 3. 특성도출 분석방법 44 1) 탐색적 분석 44 2) 시계열 특성 분석 44 3) Hot Spot 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44 4) 중심점(gravity center) 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45 4. 정책적 활용방안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47 제4장 시계열 현황 분석 48 1. 탐색적 분석 48 1) 선정된 데이터의 탐색적 분석 48 2) 각 변수에 대한 산포도 분석 51 2. 주거환경여건의 시계열 분석 54 1) 총 가구수 변화와 증감율 54 2) 노후주택 가구수 변화 61 3. 주민 역량 및 인구잠재력 시계열 분석 68 1) 가임여성인구 변화 68 2) 교육정도(고학력인구) 변화 75 3) 생산가능인구 변화 82 4. 소외계층의 시계열 분석 89 1) 독거노인 변화 89 2) 1인가구 변화 96 5. 소결 103 제5장 시계열 자료의 특성 분석 105 1. 핫스팟 분석을 통한 특성 분석 105 1) 주거환경여건 부문 105 2) 주민역량 및 인구잠재력 부문 108 3) 소외계층 부문 112 4) 소결 115 2. 중심점 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116 1) 공간패턴분석 116 2) 표준 거리(standard distance) 분석 121 3) 소결 122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23 1. 결론 123 2. 정책 제언 126 3. 연구의 한계 137 | - |
dc.language | KO | - |
dc.publisher | 충남연구원 | - |
dc.rights | BY_NC_ND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subject | 자연마을 | - |
dc.subject | 소지역 | - |
dc.subject | 가구 | - |
dc.subject | 주택 | - |
dc.subject | 센서스 | - |
dc.subject.other | 전략과제 | - |
dc.title | 충남 소지역의 인구 및 가구. 주택 특성 분석 및 정책과제 | - |
dc.type | 연구보고서 | - |
dc.date.term | 20160429 ~ 20161029 | - |
dc.country | KR | - |
dc.date.createdate | 2017-08-20 | - |
dc.date.modifydate | 2017-08-20 | - |
dc.identifier.citationurl | http://lib.cni.re.kr/inquiry/view/?c1=&MARCID=31806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