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년간(2008~2017) 충청남도 산림의 중ㆍ장기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제5차 지역산림계획을 마감하고 향후 10년을 계획하는 제6차 지역산림계획 작성시기에 도달하였음. 이에 지난 지역산림계획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충청남도의 사회ㆍ경제ㆍ환경적 변화를 반영하는 제6차 지역산림계획 수립이 필요함.
◦ 국외적으로 신기후체제(Post-2020)의 초석이 되는 파리협정체결에 따라 주요한 탄소흡수원으로 산림의 역할 증대와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기반구축이 강조됨. 아울러, 산림을 이용한 환경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구체적 실천계획의 수립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 국내적으로 국민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라 산림휴양ㆍ치유등 산림복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지속적인 임목축적 증가로 우리나라 대부분 산림은 장령림(Ⅳ영급 이상)에 편중되어 벌기령에 도달한 산림 벌채를 통한 국산 목재의 생산량 조절과 확보된 벌채지의 조림이 필요함.
◦ 그러므로, 지자체는 국가 산림기본계획의 체계를 참고하고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자연적 현황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정책을 제시하는 지역 산림 연구를 제안함. 아울러,
충청남도는 국내ㆍ외적 변화에 대응하고 산림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지역산림계획 수립이 필요함.
- 이후 생략
목차
1. 연구 개요
2. 산림계획간 연계성
3. 고려사항 및 개선점 도출
4. 지역 여건 조사
5. 지역 특화사업
6. 정책제언
[부록] 지역별 특화사업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