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식품안전에 관한 관심과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유기농업 실천 농민들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유기농산물 인증제도를 대신하여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연대를 모색하고 있는 베트남 유기농업 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유기농업이 단순히 화학비료와 합성농약을 쓰지 않는 농법의 하
나라는 협의의 개념이 아니라 환경부하를 줄이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개념으로서 지역환경보전과 안전한 먹거리 생산을 위해 공동체 유지의 기능을 지닌 생산시스템이라는 큰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인증제도의 추진 배경을 설명하는 한편, 유기농업이 추구하고 있는 식품안전문제에 대한 대응 방식을 알아보고, 식품안전문제가 시장실패의 한 사례에 해당함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해결책으로는 액설로드(Axelrod)의 라벨(label)과 영역성(territoriality)을 통해 이것이 각각 유기농업에서의 인증제도와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연대를 통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유기농업 사례에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형태의 영역성의
확장을 살펴보았다. 베트남의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유기농업 실천 농민 단체에서는 인증제도를 대신하는 형태로 참가형 유기인증시스템(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을 도입하여 소비자의 참여를 높이고 있었고, 소비자에 대한 직접적인 거래의 확대 및 유기농업 체험을 통한 투어리즘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와의 연대를 직접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기농업이 가지는 다양한 가치들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
해와 소통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독자적인 유기농업이 베트남 내에서 자리잡을 수 있음을 현장 사례를 통해 고찰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목차
Ⅰ.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유기농업 개념과 인증제도
2. 식품안전문제와 생산자 소비자 간 거리
3. 유기농업과 생산자 소비자 간 신뢰관계
Ⅲ. 베트남 유기농업 사례 연구
1. 참가형 유기인증시스템의 활용: 부온마투옷의 니코니코 야사이 농장
2. 소비자 직거래의 강화: 후에시 호아차우(HOA CHAU) 농장
3. 투어리즘을 통한 도시민 교류: 호이안의 챠쿠에(Tra Que) 농장
Ⅳ. 베트남 유기농업의 생산자 소비자 연대의 시사점
1. 여전히 인증은 필요한가
2. 소비자와의 신뢰관계 강화와 다양한 가치의 실현
Ⅴ. 맺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