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DB구축과 입지 환경 분석 결과
- 첫째, 사육두수, 축사면적, 사육밀도 등 개별 위치 중심의 DB를 구축, 분석 결과 정밀하고 구체적인 축산관련 정보 생산 가능, 보다 과학적인 방역정책이 공간정보 분석틀에서 가능함을 확인함.
- 둘째, 천안·아산시 AI 공동대응 매뉴얼 구축 시 공간정보 적용 필요성과 중요성 공감, 축사나 농가단위의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한 통합 DB구축이 필요함.
◦ 공간정보 기반의 AI 유입감시 및 방역체계 구축 분석 결과
- 첫째, 국내 야생 철새 도래지와 AI의 역학적 관계성 규명에 앞서 야생 철새 도래지에 대한 공간표집방법론 적용이 필요함
- 둘째, AI 등 가축질병 방역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차량의 이동궤적 및 축산관계시설 방문이력 등을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함.
- 셋째, 가축전염병 발생빈도가 예상보다 높은 지역을 고위험지역으로 간주, 방역자원 투입 우선순위 지역 선별이 필요함.
◦ 일본 사례를 통한 지역 단위 매뉴얼 구축 방안
- 첫째, 중앙정부의 방역지침과 별도로 지역 여건에 맞는 지자체 단위의 종합방역대책 매뉴얼이 필요함
- 둘째, AI방역은 주체별 사전예방이 중요함을 인지하고 농가 단위에서 실천 가능한 실천 매뉴얼(사육위생관리기준) 작성이 필요, 최대한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팜플렛과 함께 배포해야 함.
◦ 충남의 축산문제 공동해결을 위한 통합정책 방안
- 첫째, 가축질병을 비롯한 축산 문제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구조로서 해결을 위한 정책도 통합정책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성
- 둘째, 측산업-환경-에너지-도로교통 분야 등 통합정책 방식 접근
- 셋째, 원인발생 지점, 단계별 세부 준수사항, 주체별 역할분담 등을 통합적으로 접근, 이를 토대로 한 대응 매뉴얼 구축 필요함.
목차
1. 서론
2.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DB 구축과 입지 환경 분석
3. 공간정보 기반의 AI 유입감시 및 방역체계 구축
4. 일본 사례를 통한 지역 단위 매뉴얼 구축 방안
5. 충남의 축산문제 공동해결을 위한 통합정책 방안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