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배경
저 출산·고령화에 대한 위기감은 이미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있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다양한 정책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의 효과와 성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 못한 평가들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우리 사회의 저 출산·고령화는 더욱 깊은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나 여전히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의 중요한 정책으로서 돌봄정책이 제시되었고 돌봄서비스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돌봄체계의 성격도 이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이는 특정한 취약계층만을 대상으로 하였던 돌봄서비스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성격으로 변화했고 이에 따라 돌봄서비스의 공급량이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돌봄 서비스의 정책대상이 확대 및 증가되면서 공급주체나 재원의 이전 방식도 다원화되고 다양해 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돌봄체계 또한 복잡해지고 혼잡해질 소지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2장 이론적 논의 10
제1절 돌봄서비스의 개념과 범주 10
1. 돌봄서비스 및 체계의 이론적 검토 10
2. 돌봄서비스 유형에 따른 특성 15
제2절 지역공동체의 개념과 특성 17
1. 지역공동체의 배경과 의미 17
2. 지역공동체의 개념과 유형화 22
제3절 지역 공동체기반 돌봄서비스의 이론적 논의 29
1. 사회적 돌봄서비스의 필요성 29
2. 공동체기반 돌봄서비스의 영역과 개념 33
3. 관련 선행연구 검토 39
4.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42
제3장 지역공동체 돌봄체계 사례 43
제1절 국내사례 43
1. 제주도 수눌음육아나눔터 43
2. 서울시 마포구 ‘소금꽃마을 마더센터’, 성북구 ‘마더센터 맘콩’ 47
3. 전라남도 영광군 ‘여민동락공동체 품앗이학교’ 51
4. 서울시 마포구 울림두레생협 돌봄두레 ‘어깨동무’ 56
제2절 해외사례 59
1. 미국사례 59
2. 영국사례 62
3. 핀란드 사례 71
4. 일본사례 75
제4장 지역공동체 및 돌봄체계 현황 및 실태분석 79
제1절 지역공동체 현황 및 실태 79
1. 지역공동체의 현황 79
2. 돌봄서비스 관련 지역공동체 현황 86
제2절 지역공동체 돌봄서비스 현황 96
1. 아동 돌봄체계 현황 및 실태 96
2. 노인 돌봄체계 현황 및 실태 103
제3절 지역공동체 돌봄체계 운영을 위한 과제 116
1. 공동체 수행 돌봄사업의 전제조건 116
2. 돌봄사업 서비스와 수행가능한 공동체 영역의 제시 117
제5장 지역공동체의 돌봄에 관한 인식조사 분석 119
제1절 조사설계 119
1. 조사내용 119
2. 조사대상 120
3. 조사방법 122
제2절 조사결과 122
1. 공급조직 대상 조사결과 122
2. 수요자 대상 조사결과 135
제3절 충남 지역사례 분석결과 144
1. 공동체기반 돌봄서비스의 활성화 필요 144
2. 재정적 지원 144
3. 공동체의 지역사회 착근화 필요 145
4. 입지여건 제고를 위한 지원 145
5. 공동체 근무여건의 개선 지원 146
제6장 충남형 지역공동체 기반 돌봄 모델 개발 147
제1절 모델의 요인과 분석틀 147
1. 모델의 유형화와 요인 147
2. 공동체 돌봄서비스 모델 요인 153
제2절 공동체 기반 돌봄서비스의 모델 168
1. 돌봄모델의 외부적 요인의 특성 168
2. 자립유형의 돌봄서비스 모델 170
3. 보완유형의 돌봄서비스 모델 180
4. 모델의 종합 187
제7장 충남형 지역공동체 돌봄체계 활성화 방안 189
제1절 충남형 돌봄체계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189
1. 민관협력 활성화를 통한 공동체 돌봄체계 구축 190
2. 지역사회 참여 촉진을 위한 돌봄 공동체 육성 192
3. 지역사회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돌봄사업 추진 194
제2절 공동체 돌봄체계의 제도화 방안 195
1. 「충청남도 공동체 돌봄 지원조례(가칭)」 제정 추진 195
2. 충남형 공동체 돌봄 가이드라인 구축(공동체 돌봄 행동지침) 200
3. 공동체 활동기반 공간 지원 202
4. 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프로그램 개발 204
제3절 공동체 돌봄체계의 질적향상 및 관리방안 206
1. 돌봄활동 주체의 단계별 역량강화 206
2. 공동체 유형별 돌봄활동 지원 매뉴얼 구축 208
3 공동체 돌봄활동을 위한 지역주체 연계방안 212
4. 공동체 특성 기반의 사업 평가 및 관리방안 215
제4절 공동체 돌봄체계 운영재원 조성방안 223
1. 공공재원 조성 및 지원 방안 223
2. 민간재원 유입 지원 방안 224
제8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27
제1절 요약 및 정책제언 227
제2절 연구의 기대효과와 향후과제 233
참고문헌 235
※ 별첨 1 공동체기반 돌봄서비스에 관한 의견조사 설문지 239
※ 별첨 2 돌봄서비스 관련 지역공동체 워크숍 결과 248